이젠 서초 주민도 골 아프다..尹-文 사저 앞 '욕설 시위' 대결
유튜브 채널 서울의 소리 백은종 대표 등이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윤석열 대통령 자택 인근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사저 앞 시위 비호 행위 규탄 및 배우자 구속 촉구 집회를 하고 있다.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 회생 법원 일대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이름과 문재인 전 대통령 이름이 연이어 터져 나왔다. “구속” “씨 X(욕설)” 등 들려오는 단어는 거침이 없었다. 보수·진보 진영으로 나뉜 수십 명의 시위대는 서울 도심의 인도를 각각 점령하고 집회로 맞붙은 모습이었다.
사상 초유의 대통령 집 앞 맞불 집회
14일 서울의 소리 측이 연 집회 모습

백의종 서울의 소리 대표는 “국민 갈등을 해소해야 할 대통령이 오히려 테러에 준하는 욕설 소음 시위를 옹호·방조하는 발언을 해 국민 간 대립과 갈등을 부추겼다”라고 주장했다. 서울 회생 법원 근처에는 “윤석열·김건희는 양산 주민 괴롭히는 욕설 패륜 집회 중단하라” 등과 같은 현수막 9개가 걸렸다.
20여 명이 참석한 이날 집회에서 서울의 소리 측은 꽹과리 등을 울리며 “패륜 집회를 비호하는 윤석열은 사과하라”라고 외쳤다. 이들은 문 전 대통령 사저 근처에서 “갈 곳은 감옥뿐” 등을 외치며 진행되는 욕설 시위 소리를 대형 확성기로 그대로 내보내기도 했다. 백 대표는 “양산은 초가집이 대부분이라 문을 닫아도 소리가 들리지만, 아크로비스타는 (최신식이라) 방음이 잘 된다”며 “양산보다는 아크로비스타 주민들이 불편이 작을 것”이라고 했다.
“골 아프다” 주민들 고통 호소
유튜브 채널 서울의 소리 백은종 대표 등이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윤석열 대통령 자택 인근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사저 앞 시위 비호 행위 규탄 및 배우자 구속 촉구 집회를 진행 중인 가운데 윤 대통령 팬클럽 열지 대 회원들이 맞불 집회를 하고 있다.
맞불에 맞불 집회가 동시에 열리면서 발생한 소리가 현행법에 따른 주간 소음 기준(65㏈)을 넘어 경찰이 경고하는 일도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기준치를 넘을 때마다 주최 측을 제지하고 있다”라고 했다.
아크로비스타 주민 김 모(79·여)씨는 “시골도 아니고 공부하는 학생이 많은 서초동에서 이런 집회가 열리다니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다. 골이 아파 밖으로 잠깐 나왔다”라고 말했다. 길을 지나가던 50대 시민은 “상스러운 욕설이 계속 들려오는데 좋은 말이 나올 수 없다”며 미간을 찌푸렸다.
‘집회 대결’ 이대로 괜찮나
지난 5월 25일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 앞에 문 전 대통령 반대단체 집회, 1인 시위에 항의하는 마을 주민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마을 일대에서는 “문재인 XXX” “똥 XX” 등 ‘지저분한 단어’들이 난무한다. 저승사자 복장을 한 시위대 등을 보는 마을 주민들은 불편한 감정을 넘어 분노를 터뜨리고 있다. 문 전 대통령도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반지성”이라며 공개 비판을 했다.
집회의 자유라는 자유민주주의의 가치와 가정집 앞에서 모욕과 욕설이 난무하는 집회 현장. 이런 명분과 현실의 괴리에 의문을 나타내는 시민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오로지 정치적 세 대결을 목적으로 한 위력 과시형 시위가 우리가 지켜야 하는 집회의 자유인지에 대한 의문이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집회·시위가 정치적 보복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시위의 자유가 오히려 상대방의 자유를 제한하고 기본권을 침해하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한상희 건국대 로스쿨 교수는 “집회·시위의 자유라는 기본권과 주민 평온이라는 기본권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획일적인 규제로 처리하기는 어렵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압박이 필요하다”면서 “집회 관리의 개념으로, 집회를 최대한 보장하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소음 기준 등을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집회·시위의 자유는 사회적 정치적 소수자들이 자기 목소리를 내는 거고 그걸 최대한으로 보장하자는 건데, 현재 상황을 보면 그런 부분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