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명박·박근혜 때로 돌아갔다..문재인 정부 대비 TK는 갑절, 호남은 반토막[윤석열 정부 100일, '윤핵공' 분석]

반응형
SMALL

이명박·박근혜 때로 돌아갔다.. 문재인 정부 대비 TK는 갑절, 호남은 반토막[윤석열 정부 100일, '윤 핵공' 분석]

 

 

 

윤석열 정부 '파워엘리트' 190명 분석
4대 권력기관은 TK 편중 더 심해
호남 13.2% 불과, 과소 대표 심각
'충청 정권'이라더니 충청 큰 변화 없어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 4월11일 경북 상주시 상주중앙시장을 방문해 어퍼컷 세러모니를 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핵심 고위공직자(윤 핵공·파워엘리트)들의 출신 지역을 문재인 정부 3년 차인 2019년 ‘파워엘리트’ 조사와 비교한 결과는 ‘대구·경북(TK)의 부활, 호남 소외, 서울 약진’으로 요약할 수 있다.

 

 

 

 

 

 

 

 

 

 

 

 

TK는 문재인 정부 때보다 비중이 2배 가까이 늘면서 이명박·박근혜 정부 수준으로 돌아왔다. 반면 호남 출신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4대 권력기관(국가정보원·국세청·검찰·경찰)에서는 ‘TK 부활, 호남 소외’ 기류가 더 확연했다. 이로 인해 윤 핵공 들은 인구에 비해 TK와 부산·울산·경남(PK) 등 영남을 과대 대표하고, 호남을 크게 과소 대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이 14일 대통령실과 정부 부처 등 45개 기관 190명의 고위 공직자(윤석열 정부 신규 임명 또는 유임인사로 한정)를 출신 지역으로 분석한 결과 영남 출신이 73명(38.4%)으로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문재인 정부 3년 차인 2019년 조사 때 영남 비율(31.8%·232명 중 74명) 보다 높았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경남)을 비롯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대구),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경남), 김창기 국세청장(경북) 등 요직에도 다수가 배치됐다.

 

 

 

 

 

 

 

 

영남을 세분화하면 TK 출신이 39명(20.5%)으로 PK 출신의 34명(17.9%)보다 많았다. 특히 TK 출신은 2019년에 11.6%(27명)에 불과했다가 정권 교체 후 비율이 2배로 높아졌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등 보수 정권에서 요직에 올랐던 TK 출신들이 문재인 정부에서 밀려났다 복권된 사례가 많음을 보여준다. PK 출신은 2019년(20.3%·47명)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이는 문 전 대통령을 비롯한 지난 정부 주도 세력 다수가 PK 출신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호남 출신은 25명(13.2%)으로 비율상 2019년 조사(28.0%·65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초기인 2013년(18.6%)과 박근혜 정부 3년 차인 2015년 조사(13.8%)보다도 떨어진 수치다. 문재인 정부는 지역 탕평 인사로 호남 출신을 중용했는데, 정권교체 후엔 이러한 정책이 사라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정부 때 중용된 호남 출신 인사들이 이전 정권 사람으로 분류돼 요직 인선에서 제외됐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장관급 이상에선 광주·전남 출신이 1명도 없었다. 전북 출신만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있었다. 이 중 이 장관은 윤 대통령과 같은 서울 충암고를 나와 엄밀하게는 호남 출신으로 분류하기도 어렵다.

수도권 출신은 56명(29.5%)으로 2019년(22.8%·53명)에 비해 비중이 늘었다. 특히 서울 출신이 42명(22.1%)으로 비중이 높았다. 대통령실에선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최영범 홍보수석, 최상목 경제수석, 안상훈 사회수석 등 분석 대상 12명 중 절반인 6명이 서울 출신이었다. 김규현 국정원장, 한동훈 법무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 등 장관급에도 서울 출신이 많았다. 이는 능력 인사를 강조하면서 지역 안배를 우선하지 않는 윤 대통령 인사 스타일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4대 권력기관에선 TK 편중·호남 소외 기류가 더욱 뚜렷했다. 현재 공석인 검찰총장을 제외하고 4대 권력기관 고위공직자 총 31명 중 TK 출신은 9명(29.0%)에 달했다. 2019년 조사 때 총 32명 중 3명(9.4%)이었던 것에 비해 3배로 늘어났다. TK 정권이었던 박근혜 정부 3년 차(2015년) 때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중 TK 인원(총 29명 가운데 7명·24.1%)보다도 많다. 특히 국세청은 분석 대상에 오른 고위 간부 5명 중 김창기 청장(경북)을 비롯한 3명이 TK였다.

PK는 2019년 5명에서 이번에도 5명으로 동수를 유지했다. 반면 호남은 2019년 조사에서 8명(25.8%)에서 이번에 3명(9.7%)으로 확 줄었다. 호남에서 줄어든 자리만큼 TK가 차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윤 핵공들의 지역 분포를 이들의 평균 출생연도인 1966년(현재 56세)의 지역별 출생자 통계와 비교하면, 윤 핵공은 영남과 서울을 과대 대표하고 호남을 과소 대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66년 국내 출생자 중 TK 지역 출생자의 비율은 15.2%에 불과한데 윤 핵공 윤 핵공 중에선 20.5%를 차지한다. PK 출신은 출생자 비율(14.4%)보다 소폭 높은 17.9%다. 서울은 출생자 비율(9.7%)보다 윤 핵공에서의 비율(22.1%)이 훨씬 높았다.

반면 호남은 출생자 비율이 25.7%인데 윤핵공 중에선 13.2%밖에 되지 않는다. 실제 인구 규모에 비해 정부 고위직에서 크게 소외된 것이다.

충청 출신은 총 27명(14.2%)으로 2019년(12.1%·28명)보다 조금 비율이 높았지만, 여전히 출생자 비율(16.9%)에는 미치지 못했다. 국민의 힘이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윤 대통령 아버지 고향이 충남 공주인 점을 들며 윤석열 정부가 ‘충청도 정권’이라고 강조했지만 고위 공직에서 특별한 우대를 받진 못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