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달 이자만 190만원..차라리 집 팔고싶다" 영끌족 곡소리

반응형
SMALL

"매달 이자만 190만 원.. 차라리 집 팔고 싶다" 영끌족 곡소리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안내문 모습

30대 직장인 정 모 씨는 최근 집 근처 공인중개사무소를 찾아가 상담을 했다. 지난해 2월 부동산 광풍에 휩쓸려 구매한 아파트가 애물단지가 되고 있어서다. 그는 “이러다 평생 집 못 살 수 있다는 조바심에 직장과 한참 떨어진 강서구 쪽에 아파트를 샀다”라고 말했다. 당시 7억 원 상당의 아파트값을 마련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부터 저축은행 신용대출, 회사 대출 등을 끌어왔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도 부족해 부모에게 차용증을 쓰고 1억 원을 빌려 산 아파트였다.

 

 

 

 

 

 

 

 

 

 

문제는 대출 금리가 빠르게 뛰면서 이자 부담이 커졌다. 정 씨는 “매달 190만 원가량을 빚 갚는 데 쓴다”며 “아파트값이 오르면 버티겠지만,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도 많아서 지금이라도 팔아야 할지 고민이 된다”라고 토로했다.

 

 

 

 

 

 

 

 

 

 

 

 

 

 

 

 

 

불어나는 대출 이자에 ‘패닉 바잉(공포 매수)’으로 집을 산 차주들의 잠 못 드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아파트ㆍ연립주택 등 집합건물 거래량(24만 8633건) 가운데 보유 기간 3년 이하의 거래 비중은 26.14%다. 매도자 4명 중 1명은 구매한 지 3년도 안 돼 팔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2019년 4분기 이후 가장 높다. 1년 이내 판 비중은 이 기간 거래된 집합건물 약 10채 중 1채(9.92%)에 이른다. 직방 관계자는 “2~3년 전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산 경우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해 처분하는 경우가 증가했다”라고 분석했다.


 

 

 

 

변동금리가 고정 추월한 ‘금리 역전’

 
 

 

시장금리가 치솟으면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고정(혼합형) 금리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29일 기준 4개 시중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의 주담대 변동금리(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는 연 4.44~5.63%로 나타났다. 상단 기준으로 주담대 고정금리(연 4.46~5.54%)를 앞질렀다.
 
 
 
 
 
 
 
 
 
 
 
 

일반적으로 고정형 주담대 상품은 은행이 금리 변동에 대한 위험성을 떠안기 때문에 가산금리 등을 더 붙여 변동형 상품보다 금리가 높다. 금리가 역전한 데는 변동금리 지표금리인 코픽스가 급등하고 있어서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최근 5개월 연속 상승해 지난 6월 15일 기준 2.38%를 기록했다. 전달보다 0.4% 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연합회가 2010년 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발표한 이래 가장 큰 오름폭이다. 특히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은행들이 매월 새로 취급한 수신상품(예금, 적금 등)의 가중평균금리라서 기준금리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영한다.

 

 

 

 

 

 

 

 

 

 

 

반면 주담대 고정금리(5년 혼합형)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무보증 AAA) 5년 물의 금리는 최근 하락세다. 지난달 17일 연 4.147%까지 올랐지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지난 28일엔 연 3.627%까지 떨어졌다.

신용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4대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29일 기준 연 4.91~5.66%다. 일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상단은 연 6.29%로 뛰었다. 시장에선 지난 13일 한국은행이 첫 빅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 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8월에도 금리를 인상하면 신용대출 금리는 조만간 7% 선을 뚫을 것으로 예상한다.


 

 

 

금리 7% 시대, 170만 명 빚 못 갚아

 

 

 


대출 금리가 무섭게 오르면서 대출 취약계층의 부실 위험은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대출 평균 금리가 7% 수준에 이르면 소득에서 생계비를 빼면 대출 원리금을 못 갚는 사람이 190만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앞으로 시장 금리가 1% 포인트 더 오르면 2 금융권의 대출자 97만 명이 대부업이나 제도권 밖 금융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이 지난 26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2 금융권에서 연 18~20%의 고금리 신용대출을 받는 취약계층은 시장 금리가 더 오르면 대출 연장을 못 받을 수 있다. 2 금융권은 법정 최고금리 한도(연 20%)에 묶여 대출 조달금리를 높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기업 대출을 받은(다중채무자) 개인사업자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기업대출을 받은 개인사업자 중 다중채무자는 38만 2235명이다. 2019년 말(13만 1053명)과 비교하면 약 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잔액도 101조 원에서 183조 원으로 80%가 늘었다. 진 의원은 “자영업자들은 기업대출 외에도 개인 자격으로 받은 가계대출까지 사업에 끌어다 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실제 위험은 이보다 더 심각할 것”이라며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금융지원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반응형
LIST